-
(사)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가 공식적으로 언론사에게 배포한 보도자료를 게시하는 공간입니다
[보도자료] KISO 욕설방지시스템(KSS)에 네이트 DB 추가
작성자
kiso
작성일
2025-07-11 09:56
조회
27
KISO 욕설방지시스템(KSS)에 네이트 DB 추가네이버·카카오에 이어 네이트까지 욕설·비속어 DB 추가보다 다양한 맥락의 욕설로부터 이용자 보호 가능해져국내 3대 포털이 구축·공유·개방한 자율규제기술로 세계 유례 없어 |
이로써 KSS에는 국내 3대 포털이 보유한 80여만 건의 욕설·비속어 DB가 모두 제공돼 이용자들은 한층 강화된 욕설·비속어 필터링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됐다. 그 결과 이용자들이 악의적 언어폭력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으며, 특히 아동·청소년 등 취약계층이 안전한 디지털 환경에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됐다.
네이트커뮤니케이션즈가 이번에 KISO에 제공한 욕설·비속어 DB는 네이트판, 뉴스 댓글 등 자사 서비스에서 수집·분석한 욕설·비속어로, 기존 KSS가 보유한 DB에 포함되지 않은 단어도 상당수 들어 있다. 이 같은 DB 확충으로 더 다양한 맥락에서 생성된 욕설이 보강되어 KSS의 보호 범위와 이용자 보호 효과가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황용석 KISO 자율규제DB소위원회 위원장(건국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은 "해외 디지털플랫폼에서도 욕설·유해표현 필터링을 위한 자체 DB나 AI 탐지 시스템을 적용하고 있으나, KISO의 KSS처럼 디지털플랫폼(포털) 3사가 욕설 DB를 공동으로 구축해 공유·활용하고 이를 외부에까지 공개하는 사례는 전례가 없다"며 "세계적으로 모범이 되는 플랫폼 자율규제 모델"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KSS 자체만으로도 의미가 있지만, 이 욕설DB를 API로 공개해 이용자보호체계를 구축하기 어려운 다수의 민간 및 공공 디지털 서비스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방한 것은 기술 기반 자율규제의 확산에 기여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KSS는 다양한 플랫폼 환경에서 이용자가 작성한 게시글, 댓글, 아이디 등에 욕설·비속어가 포함된 경우 이를 탐지하고 걸러내는 서비스로, 현재 언론사와 공공기관, 금융기관, 온라인 커뮤니티, 쇼핑몰 등 42개 기관 및 업체가 이용하고 있다. 해당 기관들에서 올해 상반기까지 20만 건이 넘는 욕설과 비속어가 탐지·차단됐다.
KISO는 건강한 인터넷문화 조성에 기여한다는 방침에 따라 공공기관과 언론사, KISO 회원사 등에는 KSS를 무료로 제공하고 있으며, 일반 기업에도 저렴한 비용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KISO 신익준 사무처장은 "KSS를 이용하고자 하는 기관들이 계속 늘고 있는 추세"라며 "KSS 시스템 고도화와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을 통해 더 많은 기관들이 원활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관리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 문의: 김성덕 정책팀장(dubitas@kiso.or.kr)
(02-563-6196 )
※ 보도자료 다운로드 : KISO 욕설방지시스템(KSS)에 네이트 DB 추가